5년간(2017~2022년) 세대별 고용률 추이(단위: %)(표 제공=전경련)
5년간(2017~2022년) 세대별 고용률 추이(단위: %)(표 제공=전경련)

최근 5년간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했다.

전경련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최근 5년간(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全) 세대 중 유일하게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했다. 60세 이상(4.6%p↑), 15~29세(4.5%p↑), 30~39세(2.0%p↑), 50~59세(1.8%p↑) 순으로 증가한 반면 40~49세만 1.3%p나 감소했다.

전경련은 “5년간 전체 취업자 수가 136.4만명(2017년 2,672.5만명→2022년 2,808.9만명) 늘어나는 동안, 40대 취업자 수는 반대로 46.9만명(2017년 678.3만→2022년 631.4만명) 줄었다”고 밝혔다.

5년간 40대 비중 높은 도소매업(21.2만↓), 제조업(10.4만↓) 등에서 취업자 감소

지난 5년간 업종별 40대 취업자 변화를 보면 도소매업(-21.2만명), 제조업(-10.4만명), 숙박 및 음식업(-9.3만명), 교육서비스업(-8.2만명), 건설업(-7.4만명) 등의 순으로 40대 취업자가 감소했다.

※ 2022년 기준 40대 취업자 비중 상위 5대 업종: 제조업(18.8%), 도소매업(12.8%), 교육서비스업(8.4%), 건설업(8.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0%)

전경련은 “지난 5년간 최저임금 급등 및 코로나 사태 등으로 인해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타격을 받았다. 제조업 부진, 공장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 일자리가 줄어들었다. 코로나 확산, 원자재 가격 및 금리 급등 등으로 건설경기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5년간(2016~2021년) OECD 40대 고용률 증감(%p)(그래프 제공=전경련)
5년간(2016~2021년) OECD 40대 고용률 증감(%p)(그래프 제공=전경련)

한국 40대 고용률, OECD 38개국 중 31위 ‘최하위권’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로, OECD 38개국 평균인 82.5%보다 5.2%p 낮은 수준이었고, 그 순위는 31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그리고 일본(86.5%), 독일(86.3%), 영국(84.8%), 프랑스(84.2%) 등 주요 해외 국가들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지난 5년간(2016~2021년) 추이를 보면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감소 추세(-2.0%p)이며, 콜롬비아(-6.5%p), 아이슬란드(-5.7%p), 칠레(-4.4%p), 에스토니아(-2.4%p)에 이어 OECD 38개국 중 5번째로 감소 폭이 컸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45.6%, 올해 구조조정 여파로 더 악화 우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17.7만명으로, 40대 전체 퇴직자(38.8만명)의 45.6%에 달했다.(비자발적 퇴직자: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퇴직한 자)

최근 5년간(2017~2022년) 추이를 보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2017년 16.7만명에서 2022년 17.7만명으로 6.0%나 증가했고, 전체 퇴직자 중 비자발적 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8.5%에서 45.6%로 7.1%p나 늘었다.

전경련은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가 코로나19 본격 확산 시기인 2020년 26.6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접어들긴 했지만, 최근 경기둔화, 불안정한 대내외 여건으로 기업들이 잇단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일자리를 잃은 40대 가장들이 다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구리남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