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급여로 생활할 수 없는 구조가 문제

자료사진(해당 기사와 연관 없음)
자료사진(해당 기사와 연관 없음)

중소・중견기업 평균 근속기간이 대기업에 비해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10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290개사를 대상으로 ‘2015 중소·중견기업 채용계획 및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은 통계가 나왔다.

반면 30대 그룹 계열 대기업의 경우 평균 근속년수는 9.7년(CEO스코어 조사 결과)으로 중소・중견기업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근속년수 분포도를 보면 ‘6개월 이내’ 16.2%, ‘1년 이내’ 27.9%, ‘2년 이내’ 20.0%, ‘3년 이내’ 16.6%, ‘5년 이내’ 9.7%로 나타나, 중소・중견기업 고용기간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방황하는 중기 근로자들
중소・중견기업을 일찍 떠나는 이유는 대부분 금전 문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반증하듯 조사에 응한 중소・중견기업 가운데 46.9%가 취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이 임금비용 지원과 같은 ‘금전적 지원’이라고 답했다.

실제 이러한 결과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규모별 임금 및 근로조건 비교 보고서에서재차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격차가 2004년 95만7천 원에서, 10년 후인 2014년에는 155만8천 원으로 그 격차가 훨씬 더 벌어졌다

이와 같은 상황은 ‘채용의 주요 애로사항’ 조사에서도 다시 나타난다.

중기 사업주 임금지원 절실
기업들은 ‘적합한 인재의 부재’(38.3%)를 채용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고, ‘희망연봉과 지급가능 연봉의 차이’(29.7%)와 ‘높은 중도 퇴사 율’(21.0%)도 채용 시 고충이라고 답했다.

그밖에 ‘회사 문화 및 조직 시스템에 부적응’(9.3%)이 뒤를 이었으며, ‘신규 입사자를 위한 사내 기반시설 부족’(1.7%)은 채용 시 특별한 애로사항이 아닌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참여한 중소・중견기업들은 취업 활성화 방안으로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임금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다음으로는 ‘중소,중견기업 취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강화’(17.6%), ‘회사 기반시설 및 무료건강검진 등의 복지 지원’(11.4%), ‘직업훈련과 같은 교육적 지원’(9.7%)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구리남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