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문화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음악, 영화, 방송, 광고, 만화, 출판,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산업의 매출액이 서울(64.1%)과 경기(20.9%)에 집중돼 있었다. 전체 매출액의 85%가 서울경기에 집중돼 있는 것.

서울경기에는 매출뿐만 아니라 사업체와 종사자도 집중돼 있었다. 콘텐츠 사업체 또한 50% 이상 서울경기에 집중돼 있었고, 종사자도 무려 70% 이상이 서울(51.4%)과 경기(20.6%)에 집중돼 있었다.

이 같은 내용은 김수민(바른미래당)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 ‘2013년~2017년까지 5년 간 콘텐츠 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에 의한 것이다.

매출액 현황에 의하면 2017년도 전국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6.7% 증가한 113조2,165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서울이 72조4천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경기도가 23조6천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렇게 서울과 경기가 전체 매출의 85%를 차지한 것과 달리 비수도권의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은 미미했다. 전남은 0.4%로 최하위를 기록했고, 광주(0.9), 울산(0.5), 강원(0.5), 충북(0.8), 충남(0.8), 전북(0.6), 경북(0.9) 등은 채 1%도 넘지 않았다.

문체부와 콘진원이 제출한 '문화콘텐츠 산업 지역별 사업체 수 현황'에 의하면 서울은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 방송,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등 콘텐츠사업체 수가 34,440개로 전체의 32.7%를 차지했고, 경기도는 2만307개로 19.3%를 차지했다.

사업체 수는 제주도가 가장 적었다. 1천45개의 사업체가 있는 제주도는 전체의 1% 비중을 차지했다. 전북과 전남은 각각 2.8%와 2.5%, 충북과 충남은 각각 2.7%와 3%를 기록했다.

종사자 수 역시 서울 경기에 몰려있었다. '콘텐츠산업 지역별 종사자 현황'을 보면 서울에는 31만4천명(51.4%)이, 경기도에는 12만5천명(20.6%)이 근무하고 있었다. 반면 제주도에는 4,439명(0.7%)이, 전남에는 6,608명(1.1%)이, 충북에는 8,333명(1.4%)이 종사하고 있었다.

김수민 의원은 “4차산업혁명시대 우리나라 먹거리 산업 분야가 문화콘텐츠인데 서울과 경기도에만 과도하게 집중돼 지방과의 문화 양극화가 경제 양극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신속하게 수립해서 대응에 나서야한다”고 지적했다.

'콘텐츠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 2019.9.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단위: 백만원, %)
'콘텐츠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 2019.9.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단위: 백만원, %)
저작권자 © 구리남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