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적정가격(공시지가) 변동률(인포그래픽=국토부)
2017년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적정가격(공시지가) 변동률(인포그래픽=국토부)

전국 평균 4.94%, 경기 평균 3.38%
남양주시 지난해 5.24% VS 올해 2.81%

남양주시, 추가 개발수요 부재 등 표준지공시지가 하락 요인

구리시와 남양주시 표준지공시지가 상승률(변동률)이 전국(4.94%)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경기도(3.38%)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양주시 표준지공시지가 상승률은 지난해 5.24%에서 2.81%로 절반가까이 낮아졌으며 구리시 표준지공시지가 상승률 또한 지난해 3.37%에서 올해 2.94%로 0.43% 낮아졌다.

남양주시 관계자에 따르면 남양주시는 추가 개별요인이 없는 점 등이 반영돼 표준지공시지가 지난해 대비 다소 하락했다.

23일 국토부는 2017년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 50만 필지의 적정가격(공시지가)을 2월 23일 관보를 통해 공시했다.

2017년 표준지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전국 평균 4.94% 올라 전년도 상승률 4.47%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이는 정부·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등 토지수요 증가와 일부 지역(제주, 부산 등)의 활발한 개발사업 등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권역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은 4.40%, 광역시(인천 제외)는 7.12%, 시·군(수도권·광역시 제외)은 6.02% 각각 상승했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시군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 수준으로 상승률이 절반에 불과했다.

수도권의 경우 전국 평균(4.94%)보다 낮은 변동률을 보였다. 서울(5.46%)이 가장 높았으며, 경기(3.38%), 인천(1.98%)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변동률을 보였다.

광역시 및 시군 지역은 제주(18.66%), 부산(9.17%), 세종(7.14%), 대구(6.88%)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국토부는 이에 대해 “일부지역의 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토지수요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제주(18.66%), 부산(9.17%), 세종(7.14%), 경북(6.90%), 대구(6.88%) 등 10개 시도는 전국 평균(4.94%)보다 상승폭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인천(1.98%), 경기(3.38%), 대전(3.38%), 충남(3.61%), 강원(4.38%) 등 7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상승폭이 낮게 나타났다.

제주는 혁신도시 개발및제2공항 신설, 부산은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 및 주택재개발, 세종은 중앙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 및 토지수요 증가 등의 요인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인천은 구도심 상권의 쇠퇴와 개발사업 무산(중구), 아파트 분양 시장 침체(동구) 등으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시·군·구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전국 평균(4.94%)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은 118곳, 평균보다 낮게 상승한 지역은 132곳이며 하락한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상승 지역은 제주 서귀포(18.81%), 제주(18.54%), 서울 마포(12.91%), 부산 해운대(12.12%), 부산 연제(12.09%) 순이며, 최소 상승 지역은 경기 고양일산동구(0.47%), 경기 고양덕양(0.77%), 경기 양주(0.99%), 인천 동구(1.01%), 경기 수원팔달(1.10%) 순이었다.

경기도 시군구별로는 화성시가 9.98%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평택시(7.8%), 안산 단원구(7.02%), 안산 상록구(6.89%)가 뒤를 이었다. 고양 일산동구(0.47%), 고양 덕양구(0.77%). 양주시(0.99%), 수원 팔달구(1.1%)는 경기도 평균보다 상승폭이 낮게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별 표준지공시지가 상승 요인으로는 동탄1·2기 신도시, 향남택지개발사업(화성), 고덕 국제화지구 황해경제자유구역(평택), 시화 MTV사업부지 조성·분양(단원구) 등이 꼽혔다.

경기도 지역별 표준지공시지가 하락에는 지역경제 침체, 개발사업 부재 및 사업진척도 미진(고양 일산동구), 중심지역 노후화로 기존 시가지와 농경지 지가하락(고양 덕양구), 지역경제 침체·산업단지 분양 저조(양주시), 구시가지 노후화·개발사업 부진(수월 팔달구)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표준지 50만 필지 중 1제곱미터(㎡) 당 1만원 미만은 117,325필지(23.5%), 1만원 이상 10만원 미만은 187,150필지(37.4%)이며, 1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은 123,555필지(24.7%), 1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은 69,603필지(13.9%), 1,000만원 이상은 2,367필지(0.47%)로 나타났다. 

가격 구간별 필지 수 변동 현황을 살펴보면 1만원 미만 구간은 감소한 반면 그 밖의 구간은 모두 증가했다. 특히 1,000만원/㎡ 이상 필지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전반적인 표준지 가격 상승에 따라 1만원 미만의 표준지 수는 전년보다 8,800필지(7.0%) 감소하였고, 1,000만원 이상의 표준지 수는 도심상업용지 가격 상승 등에 따라 9.8% 증가했다.

한편 서울 시내 주요 상권 및 혁신도시 등 주요 관심지역 소재 표준지의 가격변동률은 홍대 상권 18.74%, 혁신도시 7.59% 등으로 전국 평균(4.94%)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시내 주요 상권의 경우 홍대(18.74%) 및 이태원(10.55%) 상권 주변의 공시지가가 높은 변동을 보였고, 가로수길 및 강남역 주변 또한 전국 평균 대비 높은 변동률을 보였다. 

표준지공시지가는 전국 약 3,230만 필지의 개별공시지가 산정, 각종 조세·부담금 부과 기준 및 건강보험료 등 복지수요자대상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된다. 

표준지공시지가는 국토부 홈페이지(www.molit.go.kr) ‘표준지공시지가 열람’ 또는 해당 토지가 소재한 시군구 민원실에서 2월 23일부터 3월 24일까지 열람 할 수 있다.

같은 기간 내 해당 시군구 민원실 또는 국토부 홈페이지을 통해 온라인으로 이의를 신청을 할 수 있다.

국토부는 3월 24일까지 접수된 이의신청에 대해 재조사·평가 후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조정된공시지가를 4월 14일에 재공시할 예정이다.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용도지역별 변동률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용도지역별 변동률
시・군・구별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요약
시・군・구별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요약
2017년도 권역별(수도권, 광역시, 시·군)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2017년도 권역별(수도권, 광역시, 시·군)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상・하위 5위 시군구 현황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상・하위 5위 시군구 현황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시・도별 주요 변동사유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시・도별 주요 변동사유
주요 관심지역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현황
주요 관심지역 2017년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현황
2006년 ∼2017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 현황
2006년 ∼2017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 현황
저작권자 © 구리남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